사주

운세 상담 경험론

지루박 2010. 9. 19. 22:55

운세 상담 경험론 손님의 질문에 답하는 요령 본 란은 손님을 앞에 두고 직접 상담에 임할 때, 주로 많이 궁금해 하고, 질문할 수 있는 사항들을 분야별로 나누어 사주 통변을 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사주 네 기둥에 따른 희기와 격국용신, 육친의 활용방법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할 수 있으니 100% 정답은 아니나, 후학들에게 다소나마 도움이 될 듯하여 기록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1. 女命論 여명은 관성을 제 2의 용신으로 보아 귀천을 본다. ◈ 官星이 있으면 官이 남편이고 殺星만 있으면 殺이 남편이다. 관성이 있으면 관을 남편으로 보고 살성만 있으면 살이 남편이 되는데 천간에 관살이 없고, 지지 중에 암장된 것이 있다면 이를 남편으로 본다. ◈ 관살이 사주 내에 없다면? 관살이 사주 내에 없으면 재성은 관을 생하므로 재성으로 남편을 삼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 식신이 약해도 관성이 강하면 자식이 있다. 여명은 관성과 재성을 중요하게 보는데 비록 식상이 약하든지 없든지 하더라도 관성이 강하면 자식이 있게 된다. ◈ 재관이 미약하면? 여명에서 관성은 남편이 되고 재성은 관성을 생하는 육친인데 이것이 약하다 함은 남편이 없는 것과 같으니 자연 자식이 없는 위치가 된다. ◈ 官食이 충극을 만나면? 官은 남편이 되고 食은 자식이 되는데 이들이 충극을 만나고 통관이나 생조 되지 못하면 남편과 자식이 흉하게 되는 팔자가 된다. ◈ 일주가 왕하면 탈부권이고 일주가 약하면 순종하나 잔질이 많다. 여명에서 일주가 왕하게 되면 관성은 자연히 약하게 되므로 재난이 많고 남편의 권리를 빼앗는 성격이 된다. 일주가 약하면 주로 순종형의 성격이 되나 너무 신약하면 병으로 신음하게 된다. ◈ 관살혼잡명은? 여명에서 관살혼잡은 천격이 되는데, 거관유살 하든지 거살유관하여야 길하게 되는데 운에서 다시 혼잡이 되면 흉하게 된다. ◈ 官星은 一位가 貴가 된다. 여명에서 관성은 하나만이 있는 게 貴하고 이를 재성이 생조해 줌이 가장 길하다 또한 관성은 충극이 없어야 귀명이 된다. ◈ 관성이 많으면 복이 없고 재성이 많으면 가난한 팔자? 관성이 많고 재성도 많은 명은 자연히 신약하게 되므로 종이 되지 못하면 태신약이 되기 쉽고, 태신약이 되면 극빈하거나 병으로 오래 고생하는 명이 된다. ◈ 조후가 이루어지지 못한 명은? 秋冬에 金水가 많고 丙丁戊己가 없으면 천격으로 무자하고, 夏節에 조열한 사주에 金水나 습토가 부족하면 이 또한 천격으로 무자하기 싶다. ◈ 관성이 없고 식상과 재성만 있는 여명은? 관성은 없고 일주와 상관과 재성이 균형을 이룬 여명은 청결한 여자의 명인데 관운이 오면 식상과 관성이 싸우는 형국이니 흉하게 된다. ◈ 재성이 없고 식신을 용신으로 하는데 인성운은? 식신을 용신으로 함은 설기를 용신으로 하는 명인데 인성이 오면 자연식상을 극하니 흉운이 된다. ◈ 여명에게 있어서 시어머니와의 관계를 보는 법은? ■ 여명인 경우 관은 남편을 뜻하고, 관성을 생하는 재성이 시어머니에 해당된다. 여명에 재가 태왕하면 기신 재성이 財生官하여 나를 공격하도록 남편을 계속 부추기므로 시어머니로 인해 시달림이 많다. ■ 반대로 견겁이 태왕하면 재가 무력해지므로 시어머니를 무시하거나 시어머니가 없는 곳으로 시집을 가게 되거나, 결혼 후 시어머니가 오래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단 종재격인 경우는 財가 용신에 해당하므로 시어머니 덕이 있다. ■ 여명에서 시어머니를 모시는 팔자는 관성과 재성이 同臨하거나 方合되거나 일주에 재성이 있는 사주이다. ◈ 남편이 애주가인 팔자는? 火일생인데 水가 있고 財가 형이 된 사주 ◈ 남편이 도박을 즐기는 팔자는? 비견이나 겁재가 많고 식신‧상관이 없는 사람, 인성이 많고 재가 없는 사람 ◈ 매 맞고 산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신약사주가 편관이나 편재가 강한 사주와 관식 투전격 사주는 사주가 혼탁하여 다툼이 많으며 매를 맞고 살기도 한다. ◈ 강간당한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여자 사주에 편관이 기신에 해당하면 ◈ 몸을 파는 여자 사주는? 子午卯酉가 있는데 합이 되거나 상관이 발달하거나 관살혼잡 하여 사주가 탁하면 화류계이다. 또한 水氣가 태왕하면서 탁한 사주도 그러하다. ◈ 간통하는 사주는? 편관과 암합하거나 편관이 개두하고 정관이 암합하면 ◈ 남편 사랑을 많이 받는 여자 사주는? 일지에 희신 이나 용신이 되면 배우자궁이 길신이므로 남편 덕이 있으며 관성이 용신인자는 남편 덕이 많다. ◈ 남편 덕이 없는 여자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관이 刑沖破害되거나, 편관이나 정관이 약하면서 합이 되거나 식상이 태왕하면 ◈ 과부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일지 상관이 있는데 또 다를 주에 상관이 있으면. 시상 상관이 있는데 신약하면. ◈ 남편 속을 썩이는 사주는? 여자가 財官이 약하거나 없으면, 또 견겁이 많거나 상관이 왕하면 남편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자식이 불효하거나 무능력자인 것을 어떻게 아는가? 남자는 官이 자식인데 식상이 많으면. 또 여자는 식상이 자식인데 인수가 태왕하면 그러하다. 또는 일주나 시주가 형‧충‧파를 만나면 자녀 덕이 없다. ◈ 그릇을 잘 깨뜨린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인수와 식상이 형충되면, 그러한 경향이 많은데 식상은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비유하는데 인성은 식상을 극하기 때문이다. ◈ 재취나 나이 많은 사람과 결혼하는 것은 어떻게 아는가? 壬癸일생이나 戊子일주는 노랑(老郞)과 살 팔자이며, 丙申‧庚戌‧甲戌 일주는 암관이 있어 남몰래 사귀는 현상이니 노랑(老郞)과 살아가는 팔자이다, 庚申‧辛酉일생인 경우 남편과 사별하거나 성적인 불만으로 해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 자식을 낳은 후에 간부(奸夫)와 도주도 해보는 사주는? 乙巳일생이 庚辛이 있는 경우,丁亥일생이 壬癸가 있는 경우, 己亥일생이 甲乙이 있는 경우, 辛巳일생이 丙丁이 있는 경우, 癸巳일생이 戊己가 있는 경우 그럴 수 있다. 이 모두가 관과 합되거나 시상‧월상에 편관이 투간되는 형상이므로 관살혼잡의 성향을 띄기 때문이다. ◈ 임신 후나 출산 후 남편이 미워지거나 남편에게 구박을 하는 사주는? 식신이 편관을, 상관이 정관을 만나는 사주가 그렇다. 식상은 자식을 의미하는데 식상이 왕한 사주에서 실지로 자식이 태어났다면 그 만큼 식상의 세력이 강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식상이 관을 극하기 때문이다. ◈ 남편이 술과 주색을 즐기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丙丁일생이 재가 刑이 되면 그러한데, 申酉金이金生水를 잘하기 때문이다. 여명 丙申일주는 남편의 정력이 강한 것은 申金이 壬水관성을 장생하기 때문이며, 丁酉 일주는 酉金이 도화작용을 하기 때문에 주색을 즐기는 남편이다. ◈ 결혼 전에 정조를 잃는 사주는? 신약사주가 편관이 많으면 남성의 공격을 막을 힘이 없으므로 정조를 여러 남자에서 뺏기는 형상과 같다. 여자사주에서 이복자식 있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여자사주에서 官은 약한데, 식신‧상관이 많을 때 ■ 관살혼잡사주에서 식신‧상관을 만날 때 아버지가 다른 자식을 낳을 수 있다. ◈ 자궁외 임신을 잘하는 사주는? ■ 丙·丁日生이 식신‧상관이 많고 이곳에 형충이 되는 경우 ■ 식신‧상관이 형충을 만나면 자연유산이나 낙태가 많다. 또한 자궁과 유선(乳腺)의 생식기능이 비정상이 되어 물젖이 나오거나 아예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임신이 잘 안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時上 宮은 아들자리이고, 時支 宮은 딸 자리로 보는 것이 통상적인 개념이다. ■ 식신·상관은 자식을 뜻하는데 시상 편인이 강한 사주는 식상을 극하므로 임신이 잘되지 않으며, 만약 자식을 생산한다 하여도 아들은 부실하며 딸 생산은 가능할 수도 있다. ■ 인성이 태과하거나 인성운을 향할 때는 식상이 전혀 힘을 쓰지 못하므로 임신이 잘 되지 않는다. ◈ 처녀가 잉태(孕胎)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일지에 식신이나 상관이 있고 타주의 官과 삼합이 될 때 처녀 임신한다. ■ 일지에 官이 있고 타주의 식신이나 상관과 삼합이 될 때고 그러하다. 官은 남자요, 식상은 자식을 뜻하기 때문이다. 삼합은 三位一體(본인‧배우자‧자식)의 원리와 같다.

一般論 ◈ 명문가 출신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년월에 정관이나 정인이 있으면 주로 명문가의 태생이다. 년월에 정인이 있는데, 일주를 생조하는 길신이 되면서 刑沖이 없는 경우 대개 명문가의 출신인 경우가 많다. 월주의 재가 있으면 재는 부친의 능력을 뜻함으로 형충이 없는 경우 부친의 세력이 강하여 넉넉한 집안의 출생자이다. ◈ 조상과의 관계는 어떻게 알 것인가? 대개 연간이 조상을, 日干이 자신을 뜻하게 되며, 이 둘 간의 상생‧상극관계로서 본인이 자신의 전생 혹은 자신의 조상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 일간이 년간을 극하면 조상에 대한 공경심이 없는 것이고, 일간이 월간을 극하면 자신의 가문이나 부모님을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년간‧월간‧일간 순으로 서로 상생하면 조상에 대한 공경심이 있다고 풀이할 수 있다. 年月日支가 서로 형충되면 조상 혹은 가문과 인연이 없는 경우가 많고, 財官印이 무력한 경우 역시 조상을 모시는 일에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 장모를 모시는 것을 사주로 알 수 있을까? 일지가 재성에 해당하면서 식상이 일지와 합이 되는 경우, 일지에 식상이 있으면서 재성이 일지와 합이 되는 경우 장모와 같이 사는 경우가 많다. 재성은 처를 뜻하고, 식상은 처의 인성 즉 장모에 해당하며, 合이 된다는 것은 처와 장모가 같이 붙어있는 형상이니, 결국 처와 장모를 같이 데리고 산다는 의미가 된다. ◈ 어머니와 처가 사이가 나쁜 경우는? ■ 대체로 인수는 어머니에 해당하고, 재성은 처에 해당하는데, 인성과 재성이 서로 싸우는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 어머님과 처가 서로 불화하는 경우가 많다. 재성 처가 인성 어머니를 剋하는데, 인성인 어머니는 나를 生하여 처를 극하도록 부추기니 나는 둘 간의 싸움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되는 수가 많다. ■ 인수가 왕한 재성으로부터 심한 극을 받는 경우 처가 극성이고, 왕한 인성이 약한 재성과 불협하면 모친으로부터 처가 천대를 받는다. ■ 甲子일주에 월이나 시에 未가 있어 子未 원진이 된 경우도 처와 어머니가 다투는 경우가 많다. ◈ 이복형제가 있는 사주는? 일간이 다른 간과 합하여 견겁이 되거나 견겁이 태왕하면서 천간에 겁재가 투간한 경우 이복형제가 있을 수 있다. ◈ 처에 대한 사항은 어떻게 아는가? ■ 일주 혹은 시주에 희용이 있는 경우 처덕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재가 희신이거나 용신에 해당하고 관 용신에 재성이 재생관하고 있으면 아내의 덕이 있다. 희신인 재성이 도화에 해당하면 처가 미인이다. 식신생재격에 정관이 있는 경우, 정관이 재성을 보호하고 식신이 재성을 생하여 수기가 유통되면 처성인 재성이 잘 구비되므로 처가 미인이다. 재성과 건록이 있으면서 도화가 있는 경우도 처가 미인이라 볼 수 있다. ■ 재가 태왕하여 기신이 되거나 재성이 혼잡하면 공처가이다. 정편재가 혼잡한 경우 편재가 투간하였거나 그 기세가 강하면 첩이 가권을 쥐고, 정재가 투간하거나 그 기세가 강하면 본처의 기세가 강하여 공처가가 된다. ■ 남자의 사주에 식상이 왕하면 식신생재하여 처가 뚱뚱한 경우가 많으며, 관살이 왕하면서 견겁의 견제가 없으면 처가 남편의 눈치를 보지 않으며 남편을 두려워하지 않아 만사태평이 되니 처가 뚱뚱하다고 통변해 볼 수 있다. 이런 사주는 처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사주이다. ■ 남자의 사주에 견겁이 태왕하거나 인성이 태왕하면 재성이 무력해지니 처의 몸이 아프거나 처가 마른 경우가 많다. ◈ 배우자와 해로는 가능할 것인가? ■ 여명인 경우 관성을 배우자로 보게 되는데, 견겁이 태왕 하여 관성이 들어설 자리가 없으면 견겁을 극해줄 남자를 그리워하나 남편을 노리는 경쟁자가 많아 남편을 타인에게 빼앗기게 되며, 상관이 태왕하여 관성을 극하고 있으면 남자가 무능력하다. ■ 여명인 경우 시상 상관이 있는 경우 관성이 양호하다 하더라도 본남편과 해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상 상관이 있으면 시는 결과를 뜻하는데, 상관은 관성을 극하므로 종국에는 일부종사를 못하게 된다. 시상 편관이 있으면 종국에는 본남편보다는 애인인 편관과 살게 되니 일부종사가 어렵다. ■ 남명인 경우 시상 편재가 있으면 애인과 살게 되는 경우가 많고, 견겁이 많거나 태왕하면 배우자를 빼앗기거나 헌 여자를 데리고 살 팔자이며, 일시가 원진‧공망 이거나 양인을 띄게 되면 배우자와 해로하기 힘들다고 본다. ◈ 배우자를 의심하는 경우는? 남명인 경우 재가 합하여 타 오행으로 변하거나 재성이 암합될 때, 여명인 경우 관이 합하여 타 오행으로 변하거나 관성이 암합할 때 배우자를 의심하게 된다. 월지와 일지가 암합하는 경우, 견겁 태왕이거나 水가 많을 때 수는 비밀 어두움 음모 등을 뜻하기에 의처증이 있는 경우가 많다. ◈ 장사를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역마가 재성에 해당하거나 역마가 충이 되는 경우,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돈을 버는 사주가 된다. 식신생재국 이면 상업이 어울리는데, 식신이 역마와 같은 활동의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 집을 이사하거나 다니던 회사를 옮기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월지는 주변 환경에 의한 변화를 뜻하고, 일지는 내 자신 스스로의 변화되는 모습이며, 시지는 자녀로 인한 변화를 뜻한다. ■ 또한 월지와 시지를 직장으로 보는데, 삼합이나 충이 될 때 변화가 일어난다. 삼합은 강력한 합의 원동력으로 역마 작용을 일으키며, 충은 나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갑작스런 상황 변화에 의한 변동을 의미하니, 변화해서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수가 많다. ■ 육친으로는 상관이 되는 해나 상관월에 이동이 많다. ◈ 집 매매가 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월지는 집을 의미한다. 월지를 충하여 인수가 투간되는 달이나 인수월에 매매건이 성립한다. 재나 상관이 동할 때에는 매매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용신이 되는 해나 달은 내가 원하는 매매가격을 받을 수 있다. 시험에 합격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대체로 인수 되는 해에 합격하며, 대운과 세운이 용신에 해당하는 해에도 합격한다. ■ 단 재성이 용신인데 재성운을 만났을 때 합격하겠는가? 재는 문서를 극하므로 주의해서 말할 필요가 있다. 단 壬癸일주에 丙丁이 용신일 때 丙丁운을 만나면 합격이다. 丙丁火는 밝음 광명 기쁨을 뜻하니 어두음에서 밝은 곳으로 향함을 의미하므로 소원성취가 된다. ◈ 이성관계가 비정상적인 것을 어떻게 아는가? ■ 丙申일 출생한 여자는 壬水가 남편인데 색정이 강한 남자를 만난다. 이유는 申金이 壬水관성을 강력하게 생하기 때문이다. ■ 戊子일 출생한 남자는 그 처가 색정이 강하다. 子가 도화작용을 강하게 하기 때문이다. ■ 壬戌‧庚戌일 출생자는 본남편 버리고 다른 남자를 취한다. 특히 庚戌일 출생자는 火의 관성이 入墓하니 강하게 작용한다. ◈ 해외나 지방 출장이 많은 것을 어떻게 아는가? 역마나 지살이 많거나 지지 상충이 되는 경우, 일지가 간여지동인 경우. 일지가 같은 오행이면 부부 공방이 잦다. 국제 결혼하는 사주는? ■ 남자 사주에 財가 역마에 해당하고 일주와 합이 될 때 ■ 여자 사주에 官이 역마에 해당하고 일주와 합이 될 때 ◈ 남자가 첩(妾)을 얻어 자식을 낳고 몰래 숨겨두는 사주는? ■ 남자 사주의 일지에 있는 지장간에 암장된 官이 있거나 타주의 지장간과 암합을 하고 있을 때 ■ 천간에 투출된 官이 있는데 일지의 지장간에 암장된 官이 또 있을 때, 표출된 官은 떳떳한 자식이고 암합된 官은 비밀자식이다. ◈ 자식이 없거나 귀한 것을 어떻게 아는가? ■ 남명인 경우 관성이 자식을 뜻한다. 시상에 관살이 있는데 매우 신약하거나, 시상 상관이 있는데 또 상관이 많으면 자식이 없거나 귀하다. 자식이 공망 이거나 형충인 경우도 그런 암시가 있다. ■ 여명인 경우는 식상이 자식을 뜻하므로 인성이 태과하거나 시상 편인이 있으면 자식인 식상을 극하므로 자식이 없으며, 만약 자식이 있으면 떨어져 지내는 것이 좋다. ◈ 총각이 득자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일지의 財와 타주의 官이 동궁하거나 합하면 총각이 득자하는 경우가 많다. ■ 일지의 官이 타주의 財와 합하고 있을 때도 총각 득자할 수 있다. 財는 여자요 官은 자식이니 혼인 전 자식을 가질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부부 불화하는 사주는? 일지 刑沖破害를 만나거나 일월, 일시에 원진을 만나는 경우, 부부궁이 파극되는 경우, 식상이 혼잡하는 경우 부부 불화이다. ◈ 승려가 되는 사주는? 화개살이 많거나, 인수가 고신‧과숙살 에 해당하거나, 인수가 화개에 해당하는데 공망 이나 절을 만나는 경우 승려팔자이다. ◈ 부모의 부정한 임신을 어떻게 아는가? 인수와 편재가 암합하면 ◈ 돈이 들어오면 몸이 아프거나 탈이 생기고 돈이 나가면 좋아지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재다 신약인 경우 그러한데, 재가 기신작용을 하기 때문이니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는 자세가 필요하다. ◈ 노래도 잘하고 바람도 잘 피우는 사주는? 乙일생이 丙戌시에 태어나면. 시상 상관이니 희락을 즐긴다. ◈ 허세와 허풍을 잘 부리는 사주는? 일주가 약한데 상관이 강하면 머리만 뛰어난 형상이니 말로는 이 세상 모두가 제 것 인양 말하지만 실행력이 부족하므로 허세와 허풍이 되고 만다. ◈ 부도나 재물 손실이 따르는 사주는? 식신용신에 편인운 을 만나면 부도나 손재수가 우려된다. ◈ 말을 더듬는 사주는? 子午충이나 金일주가 토다매금(土多埋金)이면 그러한데, 子午충은 성질이 급하여 水火격충된 연유이며, 토다매금은 답답하고 우매해서 말을 더듬는다. 또한 인성이 태과하고 식상이 무력한 사주는 표현력 부족으로 언변술이 부족하다. ◈ 변태성욕자 사주는? 일지 편관이나 편인 상관이 있는 경우 색다른 것을 즐긴다. 正은 바른 것을, 偏은 어그러진 것을 의미하니 그와 같이 해석하는데,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니 참고만 하라. ◈ 의식주가 넉넉한 사주는? 식신이 장생하면서 식신생재국을 놓았을 때 ◈ 직위와 신분이 높은 사주는? 관이 장생에 해당하면서 관인상생국 으로 사주가 청할 때 ◈ 예술가로 이름이 높은 사주는? 편인이 장생이면서 용신인 경우 ◈ 문학이나 학계에서 이름이 높은 사주는? 인수가 장생이면서 용신인 경우 ◈ 바람둥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남자는 재와 합이 많으면 정이 헤프고, 여자는 관과 합이 많으면 정이 많다. 도화살이 많을 때도 바람둥이이다. ◈ 색정이 강하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남자는 재가 목욕에 해당하면 아내가 색욕이 강하고, 여자는 관이 목욕에 해당하면 남편이 색욕이 강하다. 남녀 모두 일지 목욕이 있으면 부부가 모두 색욕이 강하다. ■ 금수상관격 또는 금수상관일주도 색욕이 강하며, 丁未‧戊午일주가 신강일 때도 색정이 강하다. 신태약이 아니면서 일지에 식신·상관을 놓으면 대부분 식욕과 성욕을 밝히는 경향이 있다. ◈ 부자간이 싸움을 많이 하는 사주는? 일지가 시지를 충파하거나 남자의 경우 官星이 기신작용을 할 때, 여명의 경우는 食傷이 기신작용을 할 때이다. ◈ 노랭이 사주는? 신왕사주에 재가 암장되면. ◈ 사기당하거나 관재를 당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편재가 기신인데 편재운을 만날 때, 정관용신에 상관운을 만날 때, 상관용신에 정관을 만날 때 ◈ 아내가 가출한다는 것은 어떻게 아는가? 남자 사주에서 정·편재가 역마인데 형충되면 ◈ 의견일치가 잘 되어 친한 것을 어떻게 아는가? 서로 간에 공망이 같거나 용신이 같은 경우 ◈ 신기가 있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귀문관살이나 戌亥 천문이 있으면 ◈ 정신병을 앓아본 사주는? ■ 신약한 사주에 己일생으로 귀문관살이 있는 사주 ■ 일주가 木이나 火가 되고 귀문관살이 있는 사주, 丙丁일주로 金水태왕자도 심장이 약하여 중심이 흔들리는 명이다. ※ 귀문관살 : 子酉‧丑午‧寅未‧卯申‧辰亥‧巳戌 ◈ 음독자살을 기도해본 사주는? ■ 戊子‧戊寅일생이 사주에 寅巳申 삼형이 있는 자 ■ 일지에 丑·寅·午 탕화살이 있거나, 양인살이 주변의 오행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사주 ◈ 맹장염을 앓아 본 사주는? ■ 丙丁일생 사주에 火가 왕하고, 金이 약한 사주 ■ 庚辛일생 사주에 財나 官이 많은 사주 ■ 庚辛일생에 木火가 너무 강하면 대장이나 폐기능이 약하다. ◈ 어머니가 재취로 들어온 것을 어떻게 아는가? ■ 인수가 財와 합이 되고 일지와 합이 된 사주 ■ 월지가 寅이나 도화가 되든지 망신살이 되는 사주 ◈ 아내가 뚱뚱하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官이 왕한 사주이거나 식신‧상관이 왕한 사주 ◈ 처갓집을 도와주어야 할 사주는? ■ 일주나 시주에 인수와 도화가 있는 사주(인성은 장인으로 본다) ■ 재가 식신이나 상관과 합이 되는 사주(식신·상관은 장모로 보기 때문이다) ◈ 처갓집이 파가(破家)하는 팔자는? 재가 약한 사주에서 식신‧상관까지 없거나 무력한 사주 ◈ 노름꾼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비겁이 많은데 식상이 없으면. 인수가 많은데 재가 없으면 평생 돈이 따르지 않는다. 노름꾼의 말로는 가난뱅이다. ◈ 동생이 먼저 결혼하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년월에서 견겁이 먼저 재관과 합하면 ◈ 배우자가 악사(惡死)하는 경우는? 甲辰‧乙未‧丙戌‧丁丑‧戊辰‧壬戌‧癸丑의 백호대살이 있거나, 丑·午·寅 탕화살이 있는 사주 ◈ 동성동본과 결혼하거나 변태성욕, 불감증이 있는 사주는? 사주에 귀문관살이 있는데 조화를 이루지 못한 사주 ◈ 수족이상을 겪어본 사주는? ■ 사주에 곡각살 乙·己·巳·丑이 있는 자 ■ 子酉 귀문관살이나 戌未형살이 있거나 卯·午·丑·辰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 수족을 절단하거나 다쳐본 경험이 있다. ◈ 특이한 병에 걸리기 쉬운 사주는? 사주에 丑亥‧卯酉‧巳未‧申辰‧寅戌이 있으면서 기신운을 만날 때 ◈ 친척이 凶死했다는데? ■ 해당 육친이 형극되거나 백호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육친이 흉사하는 경우가 많다. ■ 정관은 남명에게 자식도 해당하지만, 증조모에도 해당하고, 편인은 편재의 편재에 해당하므로 조부에 해당하며, 상관은 편재의 정인에 해당하니 아버지의 어머니, 즉 할머니에 해당하고, 편재는 아버지에, 정인은 어머니에 각각 해당한다. 편재가 아버지에 해당하니, 정재는 백부‧숙부에 해당하고, 정인이 어머니에 해당하니, 편인은 백모‧숙모에 해당하며, 肩劫은 형제‧친구를 각각 뜻하게 된다. ■ 형살은 해당 육친이 형벌을 당하거나 죽음을 당한다는 흉살이고, 충은 해당 육친이 서로 다투어 깨어지는 것이며, 백호살은 해당 육친이 편히 임종하지 못한다는 흉한 살인데, 이에 해당하면 해당되는 육친에게서 그와 같은 암시를 찾아볼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오행이 다른 오행에 의해 심하게 극을 당하는 경우 역시 이와 비슷한 암시가 나타나게 된다. 즉, 정관이 형충 혹은 백호살에 해당하면 증조모가, 상관이 형충 혹은 백호에 해당하면 할머니가 편히 임종하지 못하였다고 통변해 볼 수 있다. 이때 사주의 근묘화실과 대운을 같이 참고하여 언제 그러한 일을 만나는지 유추를 해 보아야 한다. 년월의 정관이 형충을 당하는 것은 증조모의 일로 볼 수 있지만, 일시의 정관이 형충을 당하는 것은 남명에게는 자식, 여명에게는 남편의 문제로 보아야 하며, 초년에 만나는 흉살은 자신의 윗대로, 말년에 만나는 흉살은 자신이나 자신의 아래 사람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 할 것이다. ※ 지금까지 설명한 看命論은 어디까지나 필자가 경험에 의한 추론일 뿐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사주학의 핵심이 될 수 있는 格局用神에 따른 사주의 淸濁高低, 十神의 통변과 각 五行이 자리하고 있는 宮의 喜忌와 五行의 物像적인 요소의 통변을 통해서 인간운명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을 독자여러분께서는 명심하기 바란다.

'사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신 설명  (0) 2010.09.19
고전 명리 용어 해설  (0) 2010.09.19
육친분류  (0) 2010.09.19
육친분류  (0) 2010.09.19
四柱와 大運 歲運   (0) 2010.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