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와 성질
* 오미(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등 5가지 맛을 가리킨다 약물이나 식품 중에는 담담한 맛과 떫은 맛을 가진 것도 있으나 오미가 가장 기본적인 맛이다. (1) 매운맛, 단맛: 양의 속성
1) 매운맛: 발산시키고 촉촉하게 적셔주는 성질 ① 발산작용, 진액의 운행작용 계피, 파, 박하, 겨자, 고추 ② 기 순환과 혈액순환 혈액과 기의 운행 촉진: 목향, 진피, 향부자: 행기약 천궁, 홍화: 활혈화어약 ③ 진액의 운행작용
2) 단맛: 보(補)해주고 조화시키며 완화 시켜주는 성질 ① 보하는 작용: 인삼 황기: 달고 따뜻한 성질 잔대 맥문동, 석곡: 달고 찬 맛 ② 조화시키는 작용, 완화시키는 작용: 감초, 대추, 꿀
(2) 신맛, 쓴맛, 짠맛: 음의 속성 1) 신맛: 수렴(거두어들이는) 작용 ① 땀 나는 것을 멈추게 함 ② 기의 소모를 막음 ③ 정액과 소변을 질질 흘리는 것을 막음 ④ 냉을 멈춤 ⑤ 출혈을 막음 ⑥ 진액을 생기게 하고 소화를 촉진 시키는 작용 매실 오미자 - 밥맛이 없을 때 사용한다. 회충으로 인해 손 발이 차고 복통이 있을 때 사용한다. * 오배자, 오미자: 수렴작용: 땀을 멈추게 함 * 선학초, 백급: 수렴작용으로 출혈을 막음 * 적석지, 석류피: 장의 수렴기능; 설사를 멈춤 * 금앵자, 상표초: 수렴작용: 정액이 질질 흐르는 것을 막고, 냉을 멈추게 함
2) 쓴맛: 설사 시키고 열을 내리며 말려주고 물렁한 것은 견고하게 해줌. 진액이 부족한 사람은 금기 ① 설사작용 ② 하강작용 ③ 해열작용 ④ 말리는 작용:습열증: 황련 한습증: 창출 ⑤ 견고하게 하는 작용
3) 짠맛: 설사시키고 연하게(무르게) 해 주는 작용 ① 설사작용 ② 딱딱한 것을 무르게 하는 작용 ③ 자하거, 녹용, 합개: 신기능 보하여 강장시킴 ④ 서각, 현삼: 혈액을 식혀주는 작용
신미의 것에는 산 즉 발산 작용이 있습니다.
산미의 것에는 수 즉 수검 작용이 있습니다.
감미의 것에는 완 즉 완화 작용이 있습니다.
고미의 것에는 견 즉 건견 작용이 있습니다.
함미의 것에는 연 즉 연화 작용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