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약 복용 과연과 저혈압 대처법
◆고혈압약 복용 과연 부작용은 없나 = 혈압약은 이롭기보다 해롭다는 증거가 갈수록 밝혀지고 있다. 혈압약을 복용하는 사람은 심장질환 위험과 피로, 두통, 발기부전, 팔다리 저림, 우울증 및 불면증 등과 같은 부작용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압제 중 칼슘길항제는 심장 근력을 약화시키는 대표적 약이다. 심장 근력이 떨어지면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지 못해 심장에서 멀리 떨어진 팔다리가 저릴 수밖에 없다. 녹내장에도 악영향을 준다. 혈압약을 복용하면 눈 안의 투명한 액체인 안방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안압이 상승하고 그 결과 녹내장을 초래한다. 베타차단제와 같은 혈압약은 체내에 나쁜 콜레스테롤 비율을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을 없애는 부작용이 있다. 또 베타차단제는 무기력, 발기부전, 수면장애, 우울증, 사지냉감(손발이 찬 증상)과 같은 부작용을 불러온다. 알파차단제를 복용하면 심장이 빨리 뛰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어지러운 현기증이 생긴다. 당뇨병, 고지혈증, 울혈성 심부전, 천식, 만성 폐질환자가 혈압약을 장기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혈압약을 장기 복용하면 혈압을 무리하게 내리는 바람에 뇌 안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치매에 걸리기 쉽고 결국 수명이 줄어들 수있다. 또 혈압약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과 같은 면역력을 담당하는 요소를 망가뜨려 감기에 걸려도 잘 낫지 않고 잔병치레를 자주하게 된다.
저혈압처치법을 배운게 생각나서 주위에 부탁하여 전화로 병원근처에 있는 친척집에 부탁하여 뜨거운 물수건을 가져오게 하여 목뒤에 대자마자 눈이 번쩍뜨이며, 40까지 내려 갔던 혈압이 70으로 돌아오면서 시간이 지나자 정상으로 돌아와 퇴원한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