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수태음 폐경과 그 유혈

지루박 2011. 2. 28. 00:23

수태음 폐경과 그 유혈

 

 

 

중부 : 기침, 감기
운문 : 기침, 편도선
천부 : 고혈압, 코피
협백 : 심장병, 가슴이 뛸때
척택 : 천식, 폐결핵
공최 : 폐렴, 편도선염
열결 : 편두통, 편도선염
경거 : 구토, 기관지염
태연 : 손목관절염
어제 : 두통, 기침, 설사
소상 : 중풍, 황달

수태음폐경 소속경혈(所屬經穴) : (중부~소상)  11개의 경혈  , 오행 은 金 .

 

폐는 기를 주관하다, 즉호흠을 주관하는데 이를 원기, 정기라한다.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음식물의 정미로은것에 의하나, 호흡하는 폐의 기가 없으면, 생명을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권태감이나고, 기력이 모자라고 땀이 많이나는 증상들이 폐가 허해서 생기는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실조시 신체상의 이상징후는 숨이 간헐적으로 끊어지고, 숨쉴 때 거렁거렁소리가나며, 기침가래가많고, 비염에 잘걸린다, 기관지 천식도 생길 수 있다.

두통이 생기고 갑자기 오한이 들며, 호흡할 때 가래에서 악취가난다. 가슴통증이 있고, 피부가 흰색이되며, 호흡이 곤란하고, 어깨걸림증상이 있고, 팔이 저리고 무겁다,

폐는 코와 통해있다. 폐는 호흡기능이 있고, 호흡하는 관문이다. 폐에 병변이 있으면 그영향이 코에 미치게된다. 때문에 폐기가 풍한의 침습을 받으면, 코가 메이고, 콧물이 흐르며, 냄새를 맡지  못하게된다.

폐는 성음과 관계가 있다. 폐에 병이 발생하면, 음성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심할때는 말도 못하게 된다.

경혈 에 나타나는 증상

중부-중은 적중을 뜻하고, 부는 밥통을 뜻하는 것이다.

기관지염, 천식, 감기, 폐렴, 폐결핵, 갑상선비대,염통질환

운문-견비통, 목소리가쉴 때

협백-기침,기침이 심할 때

척택-척은 아래팔의 길이를 의미하고, 택은 우묵한곳을 의미한다.

기관지염, 해소, 천식, 각혈, 기침, 폐결핵, 후비, 요통

공최-공은 구멍을 뜻하고, 최는 극을 뜻한다.

호흡기질환, 늑막염, 폐렴, 기관지염, 각혈, 두통, 손가락관절염, 만성천식환자

열결-머리아프거나, 목염증, 기억력감퇴, 얼굴부종, 손목에 힘이없을 때

태연-손목에 힘이 없을 때, 페에 순환기에 이상이 있을 때, 기침, 천식

어제-코막힘, 과식으로 인한설사, 기침, 천식

소상-기침, 코피, 발열, 혼미 가는 쇳소리가 날 때, 인후통

 

순행로선(유주)

윗팔 안쪽의 중부혈에서 시작하여 팔 안쪽을 지나가 손목 윗 부분 을 거쳐 엄지손가락 끝으로 가서 수양명대장경 과 연결된다.

치료경혈

 1. 폐의 기운을 잘 퍼지게 하여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하여 숨 찬 것을 멎게할 때 :

    소상(少商) ․ 어제(魚際) ․ 태연(太淵) ․ 척택(尺澤).

 2. 머리가 아플 때 : 열결(列缺)

 3. 맥 이 가라앉아 잘 나타나지 않을 때 : 태연(太淵)

 4. 기침을 할 때 각혈 : 공최(孔最) ․ 어제(魚際) ․ 척택(尺澤)

 5. 코피를 흘릴 때 : 소상(少商).

 6. 목이 붓고 아플 때(인후종통) : 소상(少商) ․ 어제(魚際) ․ 공최(孔最).

 7. 정신이 혼미 할 때 : 소상(少商).

 8. 가슴이 몹시 아플 때(흉통胸痛) : 열결(列缺).

 9. 혼절했을시  정신을 들게 할 때 : 소상(少商)


  오수혈(五兪穴)

 정목혈(井木穴)  / 소상(少商)

 형화혈(滎火穴)  / 어제(魚際)

 유토혈(兪土穴)  / 태연(太淵)

 경금혈(經金穴)  / 경거(經渠)

 합수혈(合水穴)  / 척택(尺澤)

 

중요혈重要穴

 원혈(原穴)   /  태연(太淵)

 낙혈(絡穴 )  /  열결(列缺)

 극혈(隙穴 )  /  공최(孔最)

 모혈(募穴 )  /  중부(中府)

 유혈(兪穴 )  /  폐유(肺兪)

 맥회(脈會 )  /  태연(太淵)

 

 

출처 : Tong - 그대로~님의 경혈&사상의학&대체요법통

출처 : 고려수지침 대구복현지회
글쓴이 : 童仙杏林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