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족소음 신경과 그 유혈

지루박 2011. 2. 28. 00:09

 

 

태계 : 월경불순, 유정
조해 : 변비, 불면증
용천 : 두통, 불면증, 변비
교신 : 급성변비
축빈 : 발에 쥐가날때, 대하
음곡 : 성기능 위축
횡곡 : 음위증, 요도염

 

족소음 신경 소속경혈    (용천-유부)    28개 경혈   오행  水

 

신장의 기능은 두가지로 설명할수 있다, 첫째는 오장육부의 정기는 모두 신에서 간직하는 것이며 그 근원은 수곡에서 온 것이다, 이것은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본 영양물질인데 신장에 저장 되었다가 필요할때 오장육부에 공급한다, 둘째는 생식기의 정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정은 선천적 신기가 후천적 오장의 정기와 결합하여 신에 저장한 것이다.

신은 생식기의 기능을 말하는 것이며, 수액을 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신경은 허리와 관련되어진 경맥이다.

현대인들의 좌식문화, 보행량의 절대부족은 거의 대부분 사람들의 신장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다.

신경맥은 또 체간전면부에서 임맥의 보조경락으로서도 역할을 수행하므로 알수없는 가슴의 답답함을 많이 느끼는 경락이다.

실조시 신체상의 이상 징후는 배가 고프면서 먹고싶지 않고 얼굴빛이 검어지고 혈담이 나며 목에서 소리가 나며 숨이차서 앉았다가 일어서려고하면 눈이 아득하여 보이지 않으며 가슴이 빈것같으며 항상 배가 고픈것같다, 기가 부족하면 흔히 잘무서워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잘놀란다.

입이 뜨겁고 혀가 마르며 인후가 붓고 상기되고 목이 마르며 아프다, 가슴이 답답하면서 아프고, 척추와 허벅다리 안쪽가장자리가 아프며 다리에 힘이 없고 차며 눕기를 좋아하고 발바닥이 뜨거우면서 아프다.

화장이 잘않받는다, 쉽게 피로하다, 신체각부위가 부석부석하다

경혈에 나타나는 증상

용천-경맥의 기가 샘물처럼 솟아난다는 뜻으로 정혈을 가르킨다, 목혈, 뇌를 각성시키고, 정신을 편안하게하며,거슬러 올라온 기를 끌어내리는 작용을한다,

다리에 부종, 화끈거림, 초조감, 다리에 쥐날 때, 두통, 불면증, 인후종통, 실음, 변비, 소변불리, 소아경풍

연곡-월경부조, 유정, 소갈, 설사, 각혈, 소변불리,

태계-월경부조, 유정, 변비, 각혈, 치통, 요통, 이명,이롱, 두드러기, 흥분

태종-유뇨, 변비, 각혈, 치매, 족근통

수전-월경부조, 월경통, 소변불리,

조해-월경부조, 잦은소변, 변비, 불면증, 허리통증, 수족이나른하고 냉하다.

복류(부류)-수종, 복창, 설사, 하지위비, 방광염, 치질

교신-월경부조,변비, 설사

축빈-산기, 구토, 장딴지경련

음곡-산기,소변불리, 발기불능

횡골-소복창통,소변불리,유정,유뇨

대혁-유정, 대하, 음부통증, 조루증, 묽고 흰 대하

기혈-월경부조, 소변불리, 설사, 대하

사만-월경부조, 유뇨, 산기, 변비, 복통, 수종

중주-월경부조, 복통, 변비, 설사

황수-복통, 복창, 수종, 변비, 설사

상곡-복통, 설사, 변비

석관-구토, 복통, 변비, 불임증

음도-복창, 복통, 변비

통곡-복창, 복통, 구토

유문-복창, 복통, 구토, 설사

보랑-기침, 천식, 구토

신봉-기침, 천식, 구토, 유통

영허-기침, 천식, 구토, 유통,

신장-기침, 천식, 구토, 흉통

욱중-기침, 천식,

수부-기침, 천식, 구토, 흉통

 

순행선(유주)

발바닥 가운데쪽(용천)에서 시작하여 안쪽 복사뼈 뒤와 발뒤꿈치 사이를 가르고 장단지 안쪽 뒤 가장자리를 따라 올라가 오금 안쪽으로 나와서 허벅다리 안쪽으로 올라가 복부중앙을거쳐 가슴쪽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수궐음심포경과 연결된다.


치료경혈 

 • 머리윗부분이 아플 때 : 용천湧泉(상병하치)

 • 목 아플 때 : 연곡然谷 ․ 태계太谿 ․ 조해照海

 • 요통 , 치통 : 복류腹留 ․ 태계太谿

 • 방광염 : 연곡然谷 ․ 태계太谿

 • 신장염 : 태계太谿 ․ 복류腹留

 • 이명증 , 고환염 : 복류腹留 ․ 태계太谿 ․ 조해照海

 • 월경부조 : 태계太谿 ․ 수천水泉 ․ 연곡然谷 ․ 조해照海

 • 하혈 : 음곡陰谷

 • 생리통 및 조기폐경 : 수천水泉

 • 만산 및 난산 : 용천湧泉 ․ 조해照海

 • 소변불리 : 용천湧泉 ․ 태종太宗 ․ 수천水泉 ․ 조해照海 ․ 음곡陰谷

 • 몸이 부을 때 : 복류腹留 ․ 태계太谿

 • 오줌을 못 가릴 때 : 음곡陰谷 ․ 복류腹留

 • 설사 : 연곡然谷 ․ 조해照海 ․ 태계太谿

 • 변비 : 태종太宗 ․ 조해照海

 • 폐기종 : 태계太谿 ․ 복류腹留

 • 숨이 차는 증상 : 태종太宗 ․ 태계太谿 ․ 복류腹留

 • 양기가 부족하며 두통 및 손발이 찰 때 : 용천湧泉 ․ 태계太谿

 • 무리한 성생활 로 생기는 허리통증 : 복류腹留 ․ 태계太谿

 • 히스테리 : 용천湧泉 ․ 태종太宗 ․ 조해照海

 • 신경과민 : 용천湧泉 ․ 태종太宗 ․ 조해照海 ․ 수천水泉


오수혈(五兪穴)

 정목혈井木穴 - 용천湧泉

 형화혈滎火穴 - 연곡然谷

 유토혈兪土穴 - 태계太谿

 경금혈經金穴 - 복류腹留

 합수혈合水穴 - 음곡陰谷


중요혈

 원혈原穴 - 태계太谿

 낙혈絡穴 - 태종太宗

 극혈隙穴 - 수천水泉

 모혈募穴 - 경문京門

 유혈兪穴 - 신유腎兪

 

 

 

출처 : Tong - 그대로~님의 경혈&사상의학&대체요법통

출처 : 고려수지침 대구복현지회
글쓴이 : 童仙杏林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