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정력과 민간요법

지루박 2011. 2. 18. 12:07

 정력과 민간요법

<안내말씀>
 정력은 곧 기력입니다.  남성의 정력은 남성적인 정신과 체력에서 나옵니다. 체력이 뒷받침 되지 않는 정력은 막말로 "깡다귀" 밖에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또 정신력이 결여된 정력은 통제되지 않는 불! 시도때도 없이 타올라 사람을 태우는 화재에 불과합니다. 정신으로 콘트롤이 안되는 힘은 오히려 본인을 괴롭힐 뿐입니다.

사람의 신체는 자연의 일부이자 축소판입니다. 자연은 스스로의 존립을 위해서 자동적으로 방어하고 조절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자연의 축소판인 그 육체가 성적인 힘을 아끼고 있다면, 그 것이 그 육체가 취한 최선의 방법인 것입니다. 약물을 이용해 함부로 그것을 바꾸려 하면 돌이킬 수 없는 화를 초래하게 됩니다. 대개 성기능 향상을 위한 양약제들은 전체적인 신체의 균형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안전한 정력제란 결국 기를 돋우고 체력을 보강하는 보약의 입장에 서 있는 것입니다. 체력을 끌어올림으로서 정력도 좋아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허손을 보강한다는 뜻에서 정력을 위한 민약재들을 몇가지 소개합니다.

    목차:
    피로 - 보중익기탕 ;
    음허 - 사물탕 ;
    양허 - 사군자탕, 익위승양탕 ;
    음양허 - 팔물탕, 쌍화탕, 십전대보탕 ;
    양기부족 - 보원전 ;
    신경안정 - 귀비탕, 황련청심음 ;
    성적신경쇠약 - 청심연자음 ;
    신수부족 - 육미지황원, 신기원, 팔미지황원.;
    약초 해설 찾아보기 


    피로하고 지치며, 몸이 여기저기 쑤시고 아플때

    <보중익기탕> 황기 5.6g, 인삼, 백출, 감초 각3.75g, 당귀, 진피 각2g, 승마, 시호 각1.2g,(1첩분량)
    설명: 심한 피로를 다스립니다. 일을 많이하여 근육이 쑤시거나 식은땀이 나고, 기운이 없고 몸에 미열이 있는 등의 증세를 고칩니다. 자세한 가감법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황백3푼, 홍화2푼을 가하면 양혈합니다. 식은땀이 많으면 부자, 마황근, 부소맥을 가합니다. 유뇨에는 산약과 오미자를 가합니다. 황기와 백출을 빼고 숙지황과 산약을 가하면 보음익기전이 됩니다. 즉 여윈것을 고칩니다. 황기와 백출은 고혈압과 땀을 많이 흘리는데 좋습니다.
    적응증: 피로상태, 폐결핵, 늑막염, 복막염, 더위먹은데, 간염, 치질, 탈홍, 위하수, 자궁하수, 도한, 자한(식은 땀), 등

    처방 목차로


    음이 허할 때(쉽게 말해 : 영양이 부족하여 마르고 파리할 때)

    <사물탕> 숙지황, 작약, 천궁, 당귀 각 5g씩(1첩분량)
    설명: 빈혈 등 혈병을 통치합니다. 자세한 가감법은 의사의 지시에 따릅니다. 이 민약은 예로부터 부인들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음이 허한 이유로 다른 병이 있을 경우는 의사의 지시없이 사용하면 안됩니다.
    적응증 : 생리불순, 건성피부병, 빈혈, 복통, 산후통, 신결석 등

    처방 목차로


    양이 허할 때 (쉽게말해 : 몸집은 있으나, 뚜렷한 병세도 없이 기운이 없고, 어지럽고, 식은땀, 음위 등의 증상 )

    <사군자탕> 인삼, 백출, 복령, 감초 각 5g씩 (1첩분량)
    설명 : 진기가 허약한 것을 다스립니다.  위장 등의 기능을 도우며 서서히 몸의 기를 끌어 올립니다.
    당귀와 황기를 가하여 몸의 허손을 보하면 "인삼황기탕"이다.
    적응증 : 식욕부진, 위하수, 위장허약, 위궤양, 구토, 소아토유등 

    처방 목차로


    <익위승양탕> 백출 6g, 황기 4g, 인삼, 신곡, 각 3g, 당귀, 진피, 감초, 각 2g, 승마, 시호, 황금 각 1g. (1첩분량)
    설명 : 체내의 기운을 돋우고 내장의 여러 가지 염증 등을  다스려서 생발하는 기를 돕습니다.
    적응증 : 월경부조,  양허, 변혈, 원기부족.

    처방 목차로


    음양이 허할 때(즉 기와 혈이 다 허할때)
    <
    팔물탕> 위의 사물탕과 사군자탕을 합방하면 팔물탕이 됩니다. (1첩분량 * 20첩 = 한재분량)
    처방 목차로

    <쌍화탕>  작약 10g,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각 4g, 계지, 감초 각 3g(1첩분량, + 생강3편, 대추 2매)
    적응증 : 피로 권태, 빈혈, 자한, 성적 과로, 병후쇠약, 유정, 음위, 신기부족.

    처방 목차로

    <십전대보탕> : 위 팔물탕에  황기와 육계(계피의 두꺼운 것) 각 4g씩을 더함. ++생강3편, 대추2매.(1첩분량 * 20첩 = 한재분량)
    설명 : 기와 혈이 다 허한데 쓸 수 있도록 고안되어 전체적으로 몸이 쇠약해지는 것과, 병후쇠약, 정력감퇴 등을 보강하는,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보약입니다. 체질에 따른 자세한 가감과 변용은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적응증 : 체력보강, 영양보급, 빈혈쇠약, 정력감퇴, 시력감퇴, 실혈, 산후조리, 각종 염증, 결핵 등등 

    * 주의 : 살이 많아서 고민하는 분은 삼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약을 드시면 엄청나게 소화력이 증대하여 자꾸 먹고 싶어집니다. 식욕을 참을 수 있다면 괜찮습니다.

    처방 목차로


    양기가 부족한 경우

    <보원전> 숙지황 37.5g, 산약, 구기자, 두중, 당귀 각7.5g, 산수유, 육계, 인삼, 백출, 감초 각 3.75g(1첩분량)
    설명 : 음이 승하고 양이 쇠약해진 것을 다스립니다.

    처방 목차로


    정신적인 안정이 필요한 경우

    <귀비탕> 당귀, 용안육, 산조인,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백복신 각각 3.75g, 목향 1.87g, 감초 1.12g.(1첩분량 ++생강5편, 대추2매)
    설명 : 염려와 근심으로 불안하고 잠이 안오고 소화가 안되는등, 스트레스로 인한 피곤, 건망증 등을 다스립니다. 그리고 접촉할 떄마다 유정되는(조루증) 것을 다스립니다.
    정신 안정과 총명을 추구하는 약재입니다. 자율신경부조나 정신적인 원인으로 인한 정력감퇴에 듣습니다. 심계항진에 효과가 있습니다.
    불면증에는 숙지황 19g(5전)을 가합니다. 
    소화가 잘 안되면 산사와 사인을 3.75g씩 가합니다. 

    처방 목차로

    <황련청심음> 황련, 생지황, 당귀, 감초, 백복신, 산조인, 원지, 인삼, 연자, 각 등분.
    설명 : 아래 처방보다 정신, 신경안정의 효과를 더 꾀합니다. *황련이 없으면 황금으로 바꾸어도 가합니다.  

    처방 목차로


    성적신경쇠약의 경우

    <청심연자음> 연자, 인삼, 황기, 백복령 각 3.75g, 황금, 차전자, 맥문동, 지골피, 감초 각2.62g.(1첩분량)
    설명 : 심화가 타올라서 입안이 마르고 번갈하고 소변이 붉고 삽한 것을 다스립니다. 소변의 적탁과 백탁도 다스립니다. 임질이나 요도염, 전립선염 등에 듣습니다.
    체질적으로 신경이 예민한 유정, 조루증 등의 경우나, 전립선염으로 인한 조루증 등에 듣습니다.
    적응증 : 성적신경쇠약, 몽정, 무정, 신장염, 방광염, 전립선염, 당뇨병, 신결핵, 구내염, 요불리, 음위 등  

    처방 목차로


    신수부족으로 인한 정력감퇴

    <육미지황원> 숙지황 8냥, 산약, 산수유 각4냥, 백복령, 목단피, 택사 각 3냥
    용법 : 위의 약미들을 깨끗이 하여 가루를 내어 오자대(오동자 크기)로 밀환을 지어 온주나 염탕으로 50-70알씩 복용합니다.
    설명 : 신수부족을 다스립니다. 즉 영양부족이나 노인성으로 인한 호르몬 부조에서 오는 정력감퇴를 어느정도 보완합니다.
    오미자 4냥을 가하면
    신기원이라고 하고,
    육계와 부자포 각 1냥을 가하면
    팔미원이라 합니다(강심효과가 더해짐.)
    자세한 가감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적응증 : 노인성 요통, 당뇨병, 만성신장염, 방광염, 전립선염, 동맥경화증. 

    참고사항 : 1관=6근6냥중=100냥, 1근=16냥, 1냥=10전, 1전=10푼, 1푼=1돈.
            1관=3.75kg, 1근=600g, 1냥=37.5g,  1전=3.75g, 1푼=0.375g.

     

     



 

 

출처 : 그린파워-green power
글쓴이 : 짱구박사 원글보기
메모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심장병의 병리와 처방  (0) 2011.02.18
[스크랩] 체질별 약재보기  (0) 2011.02.18
[스크랩] 본초학 계절과 약  (0) 2011.02.15
조릿대의 잎  (0) 2011.01.30
천문동(天門冬)  (0) 2011.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