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분석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사주의 용신을 찾는 것이다.
용신을 찾고 나면 사주의 운을 예상할 수 있다.
육친관계 재물의 운 등이 용신을 찾음으로써 가능해진다.
사주의 용신을 찾는 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쓰고 있다.
억부로 사주를 보는 법과 격국으로 사주는 법이 그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아주 다른 방법이다.
억부법은 일간이 사주에서 강한지 약한지를 알아내어 운을 판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격국법은 일간과 대비된 월지를 중심으로 그 관계가 어떠한지를 십성에 따른 격국으로 판단하고
식신 정재 정인 정인 등은 순용하고
상관 편재 편관 편인 등은 역용하는 방법을 쓴다.
어떤 사주이론은 이 둘을 혼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두가지 방법은 서로 섞어 쓸 수 있는 이론적 통일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은 격국법은 잊어 버리고 억부법으로 사주를 보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신이란 용어는 억부법에서 주로 쓰이고
격국법에서는 상신이란 용어를 쓰고 있다.
격국법에서 때에 따라 상신과 용신을 혼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두 용어의 의미에 대한 혼돈이 생기게 된다.
격국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용신을 찾는 것은 억부법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용신을 찾는 방법의 유형을 나누면 대략 다음과 같다.
억부용신법 조후용신법 병약용신법 통관용신법 종격용신법 등이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주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억부용신법이다.
다른 용신법은 조후용신법을 제외하고 1% 내외로 아주 드물게 나타난다.
용신을 찾는 법을 유형화 시켜보면 다음과 같다.
I. 억부용신법(일간의 강함과 약함의 판단이 기본)
1. 인성이 강할 때
1) 재성 용신(인중용재격/기인취재격/탐재괴인격 등으로 불린다)
2) 식상 용신(인중용아격/식신생재격 등으로 불린다)
3) 관성 용신(인중용관격/재자약살격 등으로 불린다)
4) 비겁 용신(인중용비격으로 불린다)
(* 용신을 찾는 순서는 1) 2) 3) 4)의 순서로 찾는다. 아래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2. 비겁이 강할 때
1) 관성 용신(정관격/편관격/재관격/재자약살격 등으로 불린다)
2) 식상 용신(식신격/상관격/식신생재격 등으로 불린다)
3) 재성 용신(정재격/군겁쟁재격 등으로 불린다)
3. 식상이 강할 때
1) 인성 용신(식상용인격/상관패인격 등으로 불린다)
2) 비겁 용신(상관용비격으로 불린다)
4. 재가 강할 때
1) 비겁 용신(재중용비격/재중용겁격/득비이재격 등으로 불린다)
2) 인성 용신(재중용인격으로 불린다)
5. 관이 강할 때
1) 인성 용신(살중용인격/관인상생격 등으로 불린다)
2) 비겁 용신(살중용비격/살중용겁격 등으로 불린다)
3) 식상 용신(식신제살격으로 불린다)
II. 조후용신법(겨울과 여름에 태어난 사주에 반대되는 오행, 사주의 강약이 치우쳐 있지 않을 경우)
1. 해자축(인) 월에 태어난 경우(괄호 안의 월은 잘 쓰이지 않는다)
2. 사오(미신) 월에 태어난 경우
3. 갑을이 축월에 태어난 경우 신약해도 병을 쓰는 경우가 많다.
4. 경신이 사오월에 태어난 경우 신약해도 수를 쓰는 경우가 많다.
III. 병약용신법(사중에서 중한 오행을 극제하는 오행)
IV. 통관용신법(대립된 오행을 소통시키는 오행)
V. 종격용신법(일간이 너무 허약해 강한 오행을 따르는 것)